유산소 운동을 하면 일어나는 심장의 변화

유산소 운동을 하면 일어나는 심장의 변화

유산소 운동을 하면 일어나는 심장의 변화 2560 1707 상경추 카이로프랙터 황원택의 생각노트

유산소 운동을 하면 몸에 생기는 변화

  • 심장이 한 번 펌프질해서 내보낼 수 있는 혈액량 증가
  • 심장이 근육에 전달하는 혈액량 증가
  • 쉬는 동안 (Resting state) 몸으로 내보내는 혈액량 증가
  • 바이오 에너지 효율 향상
  • Glycolysis, Kreb’s cycle
  • 미토콘드리아 밀도 증가
  • 몸이 사용하는 에너지 자원을 만들어낼 수 있는 효율 증진

#1
혈관은 동맥 (artery)이 있고 정맥 (vein)이 있습니다. 영화에서 보면 날카로운 물건에 혈관이 깊게 베이면 혈액이 벽으로 뿌려지는 장면이 나옵니다. 그렇게 베인 혈관을 동맥 (artery) 이라고 합니다. 동맥은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을 유지하기때문인데요. 높은 압력으로 피를 펌핑해서 산소를 공급합니다.

#2
정맥 (vein)은 산소를 공급하고 난 후 다시 심장으로 혈액을 보내서 산소를 리필하는 역할을 합니다. 흥미로운 점은 정맥은 동맥과 달리 근육 (skeletal muscle)의 도움을 받아야지만 심장으로 혈액을 돌아킬 수 있습니다. 신경 (sympathetic nervous system activation)으로부터 혈관 근육을 수축시키라는 시그널을 받아 혈관속에 압력을 올려서 피를 다시 심장으로 끌어올리게 됩니다.

#3
유산소 운동을 하면 심장을 감싸고 있는 심벽이 늘어나게 됩니다. 마치 고무줄처럼 생각하면 쉬운데요. 기본적으로 유지하고 있던 심장의 막이 늘어나면서 반사적으로 더 세게 혈액 수축을 일으키게 됩니다. 정맥이 심장으로 환류되는 양이 많아질 수록 심벽도 자연스럽게 늘어나게되면서 동맥을 통해 몸으로 한번에 펌핑해서 내보낼 수 있는 혈액량도 같이 늘어나게 됩니다.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