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우리 몸은 움직임이 있는 상태에 있거나 정지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합니다. 움직임이 있는 경우에는 몸의 무게가 분산되어 허리에 미치는 영향이 줄어듭니다. 예를 들면, 걷는 동작은 몸무게가 허리에 가하는 무게 (load/resistance)를 움직임을 통해 분산시킵니다. 반대로 정지 상태 (static)인 상태로 몸을 유지하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허리에 지속적으로 중력의 무게를 버티며 근육들은 일하고 있는 상태가 됩니다.
#2
서 있는 자세를 생각해 보면 머리와 상체 무게를 다리와 엉덩이 근육들이 몸의 무게를 지탱하는데 큰 역할을 합니다. 발바닥이 지면에 닿아 있기 때문에 중력에 의해 몸무게를 발바닥에서 무릎, 골반, 이런 순서로 위를 향해 무게를 저항하면서 무게를 분산시켜 무게를 버티는 힘의 효율을 극대화시킵니다.
#3
앉아있는 자세를 생각해 보면 중력에 의해 몸무게를 저항하는 지점은 발바닥이 아닌 골반으로 옮겨집니다. 그 이유는 지면에 가장 직접적으로 닿아있는 곳이 발바닥이 아닌 의자에 닿는 골반이기 때문입니다. 앉아있는 자세는 하체의 개입 없이 골반 그리고 허리, 배의 힘으로 몸무게를 감당하게 되는데요. 의자가 움직이지 않고 fixed point에 고정되어 있다고 가정한다면 골반의 중심은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잘못된 머리의 위치는 척추와 골반에 직접적인 불균형을 만들고 악영향을 증폭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됩니다. 예를 들면, 머리의 위치가 골반의 중심점에서 멀어질수록 허리와 상체 근육들이 더 크게 개입하게 됩니다.
#4
머리의 위치가 척추의 중심점에서 앞으로 멀어질수록 척추가 감당해야 하는 무게를 도표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머리의 위치는 몸 전체를 효율적으로 움직임을 만드는데 도움을 주며, 부상을 방지하는 데에 도움을 줍니다. 이상적인 머리의 위치가 척추의 중심점과 균형 있게 자리 잡고 있으면 자연스러운 척추의 커브를 유지할 뿐 아니라 몸에 전달되는 충격을 최대로 흡수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5
혼자서 직접 할 수 있는 자세 교정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 머리 위에 줄이 달려있다고 상상하고 위에서 머리에 달린 줄을 당겨 올린다고 생각하는것 입니다. 그렇다면, 척추의 조인트들은 길어지는 느낌을 받을 수 있고, 오히려 턱이 목 쪽으로 당겨지는 듯한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여기서 가장 이상적인 머리의 위치는 귀가 어깨 (A-C Joint)에 가까워질수록 머리의 무게는 자연스럽게 분산되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