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daily

쩝쩝대는 소리에 반응하는 질환: Misophonia


Hypersensitivity to Sounds: NU Knowles Center Symposium

Misophonia

주로 얼굴과 입에서 나는 소리, 반복되는 소리에 극도로 예민하고 “화”로 반응하게 되는 질환인데요.

예를 들면:

(1) 음식을 먹을 때 입에서 나는 소리
(2) 숨쉬는 소리
(3) 볼 펜을 눌렀다가 땠다가 반복되는 소리
(4) 키보드 자판 소리

위 와 같은 소리를 들으면, 아주 작은 소리도 증폭되서 예민하게 들리게 되고, 그 소리의 근원이 어딘지 직접 찾아보고 확인하게 되는 질환이에요. 일반 사람들은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소리와 상황에서 극도의 화가 나게 되는데, 특정한 소리에만 반응하고 심하면 공황 장애처럼 증상이 나타난다고 해요.

몰랐는데 이런 소리에 민감하게 반응하거나, 특정한 소리에 예민하게 반응하게 되는 이런 질환들이 사람을 굉장히 미치게 만든다는 거에요. 그냥 도시에서 사이렌 소리를 듣거나, 폭죽이나 기차가 지나가는 소리, 일상에서 들을 수 있는 소리들이 사람을 굉장히 놀래키고 통증으로 느껴지게끔 하는거에요. 이런게 심해지면, 사람들은 점 점 사회 활동보다는 고립 (isolation)을 택하게 되고 우울하고 불안한 증세가 함께 악화된다는 점이에요. 이런 질환들이 삶의 질을 현저히 떨어뜨려요. 밖으로 드러나게 티가 나진 않지만, 많은 일상 생활에서 영향을 받고, 멘탈과 평소 기분에 안좋은 영향을 끼치는건 굉장히 힘든 일이에요.


1801년 베토벤이 남긴 편지에 내용을 읽어보면, 그 당시에는 몰랐지만 지금은 우리가 아는:

(1) Tinnitus 이명
(2) Loss of hearing 소리 점 점 안들리게 되는거
(3) Hyperacusis 소리에 예민해지는 질환

귀에 문제가 없어도 이런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는거에요. 그래서 뇌 문제라고 보고 있어요. 이번 심포지움에서 흥미로운 질의 답이 있어서 적어보면:

Q: 귀에서 소리가 너무 예민해서 고통스러워하는 환자들에게 차라리 선택적으로 귀 신경을 죽이고 듣지 않게끔 하는 것이, 그 환자에게 도움이 되지 않을까요?

A: 귀 신경을 죽여서 소리를 안들리게끔 하더라도 뇌에서 어떤 방식으로 소리를 인식하고 계속 고통이 남아있을지 알 수 없어요. 윤리적으로 이러한 실험을 할 수도 없겠지만요.

이번에 guest speaker로 초대받은 유명한 violinist가 왔는데요.

이 분은 어릴때부터 소리에 너무나 예민하게 반응했다고 해요. 시험을 볼 때면 연필이 종이에 긁히는 소리, 다리를 떠는 소리부터, 누가 얼굴을 긁는 소리, 다리로 가방을 치는 소리, 등 모든 소리가 정확히 크게 들린다는 거에요. 그래서 시험 시간에 집중하는게 힘들었다는 이야기를 했어요.

소리에 이 만큼 예민할 수 있다는 것이 신기하지 않나요?

Categoriesdaily

결과가 아닌 활동에 집중할 것


BE DO HAVE.From Alex Hormozi
89년생, 32살 나이에 100M 기업가치 찍은 Entrepreneur.

오늘 우연히 본 유튜브에서 기억나는 말이 있었어요.

조금 더 현명한 결정을 하기 위해서는 결과를 목표로 삼기보다 활동에 집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그래요. 그래서 결과가 아닌 오늘 내가 해야 할 중요한 활동들이 무엇인지 고민해 보라는 이야기였어요.

지금 내리는 결정이 현명한 선택인지 아닌지 판단하기 위해서는 내가 닮고 싶다고 생각하는 사람을 떠올려 보라고. 당신이 존경하는 사람이 있다면, 그 사람은 어떤 선택을 할 것 같은지 생각해보라고.

기독교에서는 ‘What would Jesus do?’라는 말이 있잖아요. 다양한 상황에서 예수님이라면 어떤 결정을 할까? 를 고민하는 것은 기독교인으로서 궁극적인 목표에 가까워지는데 큰 도움이 되는 질문이라는 거에요.

이 사람은 [Alex Hormonzi] 솔로몬 왕, 워렌 버핏, 찰리 멍거를 떠올리며 생각해 본다고 해요. 본인이 지혜로운 사람이 아니기때문에 그 사람들이라면 지금 선택하려고 하는 일이 계속 해야하는 중요한 일인지, 그만해야 하는 일인지에 대해서 본인보다 지혜로운 결정을 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말이었어요.


내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일은 무엇일까? 고민해 봤는데, 저는:

  1. 글쓰기와 퍼블릭 스피킹
  2. 잘 놀고, 질이 높은 경험을 위한 자기 관리
  3. 독서를 통한 간접 경험, 성찰
  4. 사랑하는 사람들과의 관계

이런 것들이 저에겐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고, 돌아보니 지난 5년간 돈 버는 일보다 위에 일들을 더 열심히 하고 있었더라구요. 개인적으로 ‘나’라는 한 사람으로써는 많은 성장을 한 것 같은데, 물질적으로 내가 정해놓은 목표치에 고작 50% 밖에 도달하지 못했어요. 한편으로 내 자신에게 너무 실망스럽고 좌절스러운 시간을 보낸적이 있었는데, 정말 마음이 안좋고 불안한 시간을 보냈었는데요. 다시 마음을 가다듬고, 긍정적인 마음으로 달려가는데 6개월정도 걸린 것 같은데요.

그 6개월동안 제가 집중해서 한 일은 목표치를 채우려고 고민한 시간보다 ‘나’는 누구인지에 대한 고민을 정말 오래한것 같아요. ‘내가’ 정말 원하는 삶과 이루고자 하는 꿈은 무엇인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가치들은 무엇인지… 이러한 existential한 고민을 6개월동안 저널링을 하면서 오히려 제가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서 더 명확해진 것 같아요.

과정에서 가장 저를 단단하게 만들어 준 생각들은 ‘감사함’이었던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