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어지럼증: 목이 균형에 미치는 영향

어지럼증: 목이 균형에 미치는 영향 768 576 HWANG WONTAEK 황원택

September 2023

어지럼증: 목이 균형에 미치는 영향

경추성 어지럼증 (Cervicogenic Dizziness)은 목에서 비롯한 어지럼증을 유발하는 장애 질환입니다. 목의 움직임이나 위치에 따라 어지럼증이 일어나고 술에 취한 것과 비슷한 불균형을 경험한다면 경추성 현기증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주로 목 통증과 뻣뻣함과 같은 증상이 최소 3개월 이상 동반되며, 두통도 함께 나타납니다. 경추성 어지럼증은 흔하지 않다고 여겨져 왔지만, 어지럼증을 동반하는 많은 질환 중 7.5%는 경추성 어지럼증이라고 보고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균형 감각 문제나 어지럼증을 겪고 계신 분들은 주변에서 흔하게 접할 수 있습니다. 경추성 어지럼증을 겪고 계신 분은 머리를 움직이거나 특정한 목 자세를 장시간 유지하면서 어지럼증을 호소하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대로 목 통증이 감소하면 어지럼증도 함께 감소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러한 증상은 보통 몇 분에서 몇 시간 동안 지속됩니다.

이러한 어지럼증은 겉으로 드러나지 않지만,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는 장애 질환으로 분류됩니다. 언제, 어디서, 그리고 어떻게 어지럼증이 유발될지 모르는 공포감은 운전대를 잡기 무섭게 만들기도 합니다. 많은 분들이 병원을 방문하실 때에 가족과 함께 방문하시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어지럼증이 갑작스럽게 유발하면 넘어지는 물리적인 부상도 큰 걱정이지만, 그분들이 주변 관계 및 사회 생활면에서 제한을 받게 되는 고통에 대해 호소하시는 것을 상담하면서 느낄 수 있었습니다.

Q: 빈혈은 아니라는데, 어지럼증의 다른 원인은 무엇이 있을까요?

경추성 현기증은 목의 윗부분인 상경추의 퇴화가 진행되었거나, 목 부상 및 교통사고 (Whiplash injury)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는 것은 이미 알려져 있습니다. 머리와 목을 잇는 부분인 상부 경추쪽엔 많은 감각 정보들을 끊임없이 뇌와 주고 받으며 대화를 합니다. 귀와 눈에서 뇌로 보내는 감각 신호들과 척추 (특히, 상부 경추)와 자세에서 뇌로 보내는 균형 감각 신호들이 함께 몸의 평형과 균형을 유지하는데 큰 역할을 합니다. 이런 몸의 균형은 잠재 의식에 의해서 통제가 되는데, 귀와 눈 그리고 척추에서 보내는 균형 감각 신호들에 불일치가 발생할 경우 술에 취한 것과 같이 균형을 잃는 느낌이나 어지럼증과 비슷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Q: 어지럼증과 귀는 무슨 관계가 있나요?

귀는 균형을 담당하는 중요한 기관입니다. 귀는 머리의 좌우 움직임을 통해 공간과 균형을 파악합니다. 귀 안에 작은 입자들이 균형을 담당하는 기관에 잘못 위치하게 되면 뇌에 혼란을 일으키면서 어지럼증을 유발합니다. 귀 신경에 염증이 생기거나, 귀 안에 물이 차거나, 귀에 감염이 일어난 경우 천장이 빙빙 도는 듯 한 어지럼증 (Vertigo)을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시간을 두고 기다리면 증상이 완화될 것이라고 생각하시지만, 계속 증상이 재발한다면 정확한 원인을 찾고 제 때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어지럼증은 여러 원인이 있을 수 있어서 정확한 이유를 찾기가 쉽지 않을 수 있습니다. 만약 증상이 호전되지 않고 계속 재발하여 병원에서 검사를 받아보았지만 특별한 원인을 발견하지 못했을 경우, 이비인후과를 찾아 귀에 이상이 있지 않은지 검사를 받아보는 것을 적극 추천드립니다.

Q: 어지럼증이 있는데, 목을 검사받아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목은 우리 머리 움직임의 50% 이상을 담당합니다. 사실, 위험 상황에서 우리가 가장 본능적으로 보호하려고 하는 부위 중 하나는 머리입니다. 머리가 심하게 부딪히면 신경계에 큰 부상을 줄 수 있기 때문인데요. 미식축구나 아이스하키 같은 접촉 스포츠를 하는 선수들은 잦은 뇌진탕 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자동차 사고에 의해 머리가 심하게 흔들릴 때에도 신경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는데요. 이런 경우, 두통이나 어지럼증과 같은 증상들이 흔히 동반됩니다.

목의 가장 윗부분인 ‘상경추’라고 불리는 이 부분은 머리와 몸을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목은 머리의 무게를 잘 지탱하면서 머리의 움직임을 돕는 구조로 알려져 있습니다. 실제로 목은 감각 기관과 아주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요. 특히, 목의 상부 경추 쪽에서는 몸의 다른 곳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만큼 많은 양의 ‘균형 감각을 담당하는 근육’들이 밀집되어 있습니다. 머리와 목 균형에 문제가 생기면 눈, 귀 및 신경계에 큰 악영향을 미치게 되고, 몸의 불균형, 두통, 어지럼증 외로 이어지게 됩니다. 이러한 문제들을 겪고 계시다면 ‘상경추 카이로프랙터 (Upper Cervical Chiropractor)’를 찾아 검사를 받아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상경추 카이로프랙터 황원택
Head and Neck Spinal Care
401 S Milwaukee Ave, #210
Wheeling, Illinois 60090
(847) 497-5003

편두통, 단순한 통증이 아닌 신경의 알림

편두통, 단순한 통증이 아닌 신경의 알림 768 576 HWANG WONTAEK 황원택

September 2023

편두통, 단순한 통증이 아닌 신경의 알림

살다 보면 많은 사람들이 한 번쯤은 두통을 경험합니다. 물론, 대부분의 두통은 일시적으로 나타났다 사라지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일상에 지장을 줄 만큼 빈도가 잦고 통증이 심하다면 가볍게 여겨선 안 됩니다. 만약 두통의 강도가 약해 초기에 진통제를 먹고 통증을 완화시키는 방법을 택하더라도, 오랜 시간 진통제를 복용하게 되면, 나중에는 진통제가 잘 듣지 않는 만성 두통으로 이어질 수 있으니 유의하셔야 합니다.

신경성편두통 (Migraine), 두통과 어떻게 다른가요?

신경성 편두통은 일시적으로 나타났다 사라지는 두통과는 다르게 분류합니다. 대게 머리 한쪽에서 욱신거림과 맥박이 뛰는 듯한 통증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두통을 가리킵니다. 이러한 편두통은 멀미나 어지럼증, 및 구토 증세가 동반되고, 빛과 소리, 냄새에 대해 예민해지기도 합니다. 또, 눈에 시야가 흐려지거나 가리기도 합니다. 통상적으로 평균 4~72시간 동안 증상이 지속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경험에 의하면 사람마다 통증이 지속되는 시간이 다르게 나타납니다. 많은 분들이 1시간 이내에 두통이 사라지기도 하지만, 극심한 피로가 몰려와 하루 종일 아무 일도 하지 못하는 경우가 흔하게 일어납니다.

편두통은 왜, 누구에게 일어나는 걸까요?

일반적으로 알려진 원인으로는 뇌수막이 내부로 이동하는 뇌혈관 벽 내의 신경성 염증으로 인해 편두통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남성보다 여성에게 약 3배 더 흔하며 미국 성인 인구의 12% 이상이 편두통을 앓고 있다고 합니다. 편두통은 가족력이 있는 경우가 많고, 빠르면 초등학생부터 시작될 수 있지만 통상적으로 대부분 성인 초기에 시작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 경험에 의하면 나이나 시기와 관련 없이 많은 사람들에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입니다.

편두통은 일반적인 통증과는 다르게 많은 사람들에게 공포감을 주며 장애를 유발하는 신경성 질환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렇다 보니 편두통은 신경과 전문의를 찾는 가장 큰 이유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신경성 편두통을 겪으신 분들은 검사를 통해 다른 원인이 있는지 검사해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랜 시간 편두통은 뇌혈관에 염증이 생기면서 나타나는 문제로 알려져 있지만, 최근 발표된 논문들에 의하면 혈관의 문제보다는 중추 신경에 문제를 의심하고 있습니다. 아직까지 명확한 원인을 규명하지 못하고 있지만, 유전적인 요인과 환경적인 요인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신경성 편두통이 동반되는 증상을 살펴보면 뇌간 (brainstem)에 문제가 나타날 때 일어나는 증상들과 비슷하게 나타납니다. 신경성 편두통 때문에 호소하시는 분들은 크게 시각, 감각, 그리고 언어 능력, 이렇게 큰 세 카테고리에 영향을 받습니다. 주로 한쪽 눈에 시각적인 증상을 보이거나, 팔이나 얼굴에 무감각증 및 저리는 증상을 나타냅니다. 또, 말하기 능력이나 언어에 장애가 나타나면 환자분들에게 더없이 공포감을 주기도 합니다.

편두통이 있을때 할 수있는 것이 무엇이 있을까요?

편두통 치료는 증상을 완화하고 추가 재발을 예방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통증이 경미할 때 통증이 얼마나 극심해질지 기다리지 않고 가능한 효과적인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신경성 두통이 발생할 때는 소리, 빛, 냄새, 스트레스와 같은 외부 자극을 최대한 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편두통이 일어나 증상을 일시 완화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취할 수 있습니다.

  • 조용하고 어두운 방에서 눈을 감고 낮잠을 자거나 휴식을 취합니다.
  • 이마에 시원한 천이나 얼음주머니를 올려놓습니다.
  • 구토를 동반하는 경우 수분을 많이 섭취합니다.

편두통 환자를 위한 상경추 검사 권장

목은 총 7개의 경추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중에서 가장 상단에 위치한 경추, 즉 머리와 목을 연결하는 경추를 상경추라고 합니다. 이 부분이 균형을 잃거나 비뚤어지면, 그 안을 지나는 중추 신경에 장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National Upper Cervical Chiropractic Association에서 발표한 편두통 연구에서는 11명의 환자를 상경추 카이로프랙틱 치료를 받은 11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는데, 11명의 환자들 중 10명은 한 달 동안 겪는 편두통의 횟수와 강도가 크게 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상경추 카이로프랙틱 치료는 약물 복용이나 침습적인 시술 없이도 신경성 편두통의 증상을 관리하여 사람들의 삶의 질을 향상할 수 있습니다. 편두통 때문에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으시다면 상경추에 문제가 없는지 검사받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상경추 카이로프랙터 황원택
Head and Neck Spinal Care
401 S Milwaukee Ave, #210
Wheeling, Illinois 60090
(847) 497-5003

평소 습관 개선을 통한 건강 관리법

평소 습관 개선을 통한 건강 관리법 768 576 HWANG WONTAEK 황원택

August 2023

평소 습관 개선을 통한 건강 관리법

건강에 대한 다양한 인식
대다수 부모님들은 건강한 아이를 키우고자 하는 공통된 목표를 가지고 있지만, ‘건강한 아이’의 정의를 규정할 때 건강을 바라보는 시각은 상이할 수 있습니다. 사람마다, 그리고 그 사람의 생활 습관, 교육 환경, 성장 배경과 문화, 건강 정보의 접근성 등 여러 요인에 따라 영향을 받기 때문에, 각 개인이 가지고 있는 ‘건강하다’라는 의미를 이해하는 방식은 다양한 것 같습니다.

우리 주변에는 목숨을 위협하는 치명적인 질병부터 그렇지 않은 질병까지 다양하게 존재합니다. 어떤 질병은 뚜렷한 증상으로 몸 밖으로 나타내지 않기 때문에, 때로는 잘못된 건강 안정감을 주곤 합니다. 그래서 많은 기관들은 질병의 조기 발견을 위해 정기적인 검사인 스크리닝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단순히 증상을 찾아내고 치료하는 방식은 질병이 없는 것과 건강함을 동일시하기 쉽지만, 건강 관리의 본질은 몸이 다양한 스트레스에 잘 대응하고 어떠한 상황에서도 올바른 신체 기능을 유지하는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카이로프랙터의 관점에서 보면, 건강 관리의 핵심은 각 개인이 지니고 있는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고, 그들의 신체적 기능을 최적화하는 데 있습니다. 이러한 건강 관리는 단순히 통증이나 질병을 치료하는 것을 넘어, 신체 기능의 증진과 라이프스타일의 개선에 중점을 둡니다.

21세기 질병의 동향
21세기를 들어서며 많은 사람들이 만성 통증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경제적으로 발달한 국가들, 예를 들면 미국이나 한국에서는 고도의 의료 발전 덕분에 전염병에 의한 사망률이 크게 줄었습니다. 이에 따라 사람들의 평균 수명은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높은 기대 수명의 뒷면에는 관절염, 암, 심장병, 뇌졸중, 당뇨와 같은 퇴행성 질병의 발병률은 급증하고 있어, 이제는 고령화 사회의 새로운 도전 과제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물론, 환경이나 유전적인 요인을 무시할 수 없지만, 이런 질병들은 주로 ‘라이프 스타일 질병’으로 분류되며, 우리의 일상 습관이나 행동 패턴에 큰 영향을 받습니다. 그래서 현대인의 과체중, 부실한 식습관, 부족한 운동과 같은 부적절한 생활 습관들이 많은 질병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특히나 기술의 발전으로 생활이 편리해진 덕분에 움직임이 줄어들고, 가공식품의 섭취가 늘어나면서 이런 문제가 더욱 심화되고 있습니다.

행동 습관과 환경 개선 방법
우리가 주의 깊게 살펴보아야 하는 부분은 바로 일상의 행동 습관과 환경 설정에 있습니다. 무의식적으로 반복되는 행동들로 인한 움직임들은 몸에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큰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미국인들은 평균적으로 3000~4000보를 걷는다고 합니다. 그런데 신경 쓰지 않고 무게만 내딛는 걸음걸이는 무릎이나 고관절에 악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그에 반해 의식적으로 건강한 발걸음을 연습하는 사람은 몸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다른 예로, 우리는 하루의 1/3을 잠을 자는데 투자합니다. 이때 잠자리의 환경을 세심하게 조절하지 않으면, 체내의 피로와 스트레스는 크게 쌓일 수 있습니다. 수면 중에 몸은 기억을 정리하고, 면역 체계를 강화하며, 호르몬을 조절하고, 노폐물을 처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러므로 잠자리에 들기 최소 3시간 전에는 음식을 섭취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스마트폰 사용도 제한하여 눈에 비치는 불빛을 줄여야 하고, 베개의 높이를 조절해 척추가 안정된 자세로 휴식을 취하도록 해야 합니다. 특히 배를 대고 엎드려 잠을 자는 자세는 피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또 한, 사람은 하루에 평균 약 20,000회 무의식적으로 숨을 쉬게 됩니다. 숨쉬기는 단순히 몸에 산소를 공급하는 것 외에도 중요한 기능을 합니다. 그렇기에 입으로 숨을 쉬는 것과 코로 숨을 쉬는 것 사이에는 큰 차이가 있습니다. 입으로 숨을 쉴 때, 가슴의 팽창을 줄이고, 이는 입의 모양과 전반적인 자세, 머리의 위치에도 큰 영향을 미칩니다. 반면, 코로 숨을 쉴 때는 단순한 산소 공급 이상의 역할을 합니다. 코를 통해 숨을 들이마실 때, 부교감 신경계가 활성화되어 몸에서 산소를 더 효과적으로 흡수하게 도와주며, 심장의 박동도 더 안정적이게 됩니다.

이러한 건강 관리 방향성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지혜롭게 선택하고, 의식적인 노력이 계속되어야 합니다. 상경추 카이로프랙틱 치료는 목이나 허리 통증을 단순히 완화하는 것이 아닌, 신경 활동과 전체적인 몸의 균형을 교정하여 우리가 누려야 할 삶의 질을 향상하는데 큰 도움을 줍니다.

상경추 카이로프랙터 황원택
Head and Neck Spinal Care
401 S Milwaukee Ave, #210
Wheeling, Illinois 60090
(847) 497-5003

자동차 후방 추돌 사고로 인한 부상에 대한 설명

자동차 후방 추돌 사고로 인한 부상에 대한 설명 768 576 HWANG WONTAEK 황원택
카이로프랙터

August 2023

자동차 후방 추돌 사고로 인한 위플래쉬 부상 (Whiplash injury)에 대한 설명

많은 사람들이 종종 경험하는, 하지만 무시되거나 간과되기 쉬운 경미한 교통사고의 후유증에 관해서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많은 사람들은 교통사고 후 외부에 드러나는 상처를 극복하는 곳에 초점을 맞추기 때문에, 교통사고 후 나타나는 이상 증세들을 시간이 지나면 자연히 치유되는 상대적으로 사소한 근골격계 부상 정도로 여기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후유증의 원인을 이해하고 조기에 대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도로에서 많은 후방 추돌 사고와 관련된 잦은 후유증이 보고됨에도 불구하고 정확한 원인들이 완전히 이해되지 않고 있습니다. 그 이유 중 하나는 X-ray 또는 MRI로 감지할 수 있는 명백한 손상이 반드시 나타나는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자동차 사고에서 발생하는 목 부상을 ‘위플래쉬(Whiplash injury)’라고 부릅니다. 여기서 ‘Whip-‘이라는 단어는 ‘채찍질’을 하는 동작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위플래쉬는 자동차 후방 추돌 사고에서 주로 발생하는 목 부상으로, 목이 채찍질을 하는 듯한 움직임으로 인해 발생하는 부상을 말합니다. 사고 시 차량이 급격하게 정지하거나 충돌로 인해 몸이 앞으로 튕겨 나가지만, 안전벨트가 몸을 고정시켜주고 있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목은 채찍처럼 힘을 받아 근육, 인대, 신경 등에 큰 부담이 가해지면서 겉으로 보이지 않는 부상을 일으킵니다.

일반적으로 객관적인 증상이 부족해서 많은 사람들에게 혼란을 주기는 하지만 자동차 사고는 장기적인 만성 통증의 큰 원인이 됩니다. 이러한 자동차 후방 추돌 사고 시 가해지는 힘에서 비롯된 목의 부상으로 인해 일으키는 증상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목이 굳은 듯한 느낌과 움직임에 따른 통증
  • 목 통증
  • 두통 (주로 목 위쪽에서 시작)
  • 어깨와 팔, 등 위쪽에 있는 통증
  • 팔의 촉감이 떨어지거나 무감각함
  • 극심한 피로
  • 어지러움
  • 시야가 흐릿해짐
  • 집중력 저하
  • 소화 불량
  • 구토 증세

비슷한 경미한 사고가 나더라도 사람마다 다른 후유증을 일으키는 이유

자동차 사고는 아주 경미한 접촉 사고에서도 (8.7 mph) 운전자가 후유증을 겪을 수 있으며, 자동차에 생긴 대미지나 사고 시 충돌 속도, 운전자가 겪는 후유증에 관한 정확한 관계는 밝혀지지 않고 있습니다.

자동차 사고가 발생할 때 고개가 앞을 향하는 것보다 한쪽 방향으로 틀어져있을 경우 후유증이 더 심각하고 오래 지속될 수 있습니다. 고개를 한쪽 방향으로 바라보고 있을 때 이미 인대가 늘어나 있는 상태에서 사고가 발생하면 고개가 뒤로 젖히게 되고, 그 과정에서 더 큰 부상이 발생합니다.

다시 쉽게 말하면, 고개가 앞을 향하고 있는 경우, 후방 추돌 사고를 당하면 목은 2D로 부상을 입게 되지만, 옆을 바라보고 있는 경우 목은 3D로 부상을 입게 됩니다. 이로 인해 인대에 더 큰 부상이 생기고, 척추에 불안정성이 발생하면서 목 통증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The mechanism of whiplash is illustrated. A lateral view of normal anatomy is compared to anatomy during hyperflexion and hyperextension. References and research: 1. Pictoral references of spine models and woman’s head 2. KDAL #5A1483 3. Consultant Dr. Barbara Berkeley, DC

자동차 후방 추돌 사고 시 후유증을 줄이기 위해 확인할 것 한 가지

자동차를 만든 엔지니어들은 운전자가 올바르게 의자에 앉아서 주행을 할 것이란 가정하에 안전성이 디자인되어 있습니다. 운전자가 올바른 자세로 운전을 한다는 것은 머리 받침대의 위치는 뒤통수에서 3인치 이내에 위치하고 있어야 합니다. 고개는 정면을 바라보고 있어야하고, 골반은 의자 가운데에서 허리를 곧게 피고 앉아있는 상태에서 양 손이 핸들위에 놓여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이러한 자세로 운전하는 사람들이 많지 않습니다. 우리는 운전 중 교통 상황도 확인해야 하며, 옆자리에 앉아있는 친구와 이야기도 하고, 노래도 듣기도 합니다.

자동차 후방 추돌 사고시 이러한 부상을 줄이기 위해서는 올바른 자세로 운전하는 것을 습관화해야 하며, 머리의 뒤통수가 머리 받침대에서 3인치 이내에 위치하는지 확인하고 조정하는 것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여성분 같은 경우 머리 뒤쪽으로 머리핀을 사용하시는 경우 사고 시에 머리가 머리 받침대에 부딪히면서 더 큰 부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상경추 (머리/목) 카이로프랙틱 치료

교통사고 후에는 무시되기 쉬운 경미한 증상이라도 의료 전문가와 상담하고 즉시 전문가의 진단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조기에 상경추 카이로프랙틱 치료를 받으면 만성화되는 것을 예방하고 더 나은 회복 기회를 가질 수 있습니다.

상경추 카이로프랙터 황원택
Head and Neck Spinal Care
401 S Milwaukee Ave, #210
Wheeling, Illinois 60090
(847) 497-5003

Reference

Ferrari, Robert. “Rear-End Impacts: Vehicle and Occupant Response.” Journal of Manipulative and Physiological Therapeutics, vol. 23, no. 1, 2000, pp. 62–63, https://doi.org/10.1016/s0161-4754(00)90118-0.

Ono, Koshiro, et al. Cervical Injury Mechanism Based on the Analysis of Human Cervical Vertebral Motion and Head-Neck-Torso Kinematics during Low Speed Rear Impacts. 12 Nov. 1997, https://doi.org/10.4271/973340. Accessed 26 May 2023.

Siegmund, Gunter P., et al. “The Anatomy and Biomechanics of Acute and Chronic Whiplash Injury.” Traffic Injury Prevention, vol. 10, no. 2, 31 Mar. 2009, pp. 101–112, https://doi.org/10.1080/15389580802593269. Accessed 19 June 2020.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