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y: Sticky Notes

  • 거북목: 머리의 위치가 허리에 미치는 영향

    기술의 발전은 분명 우리의 일상 습관을 변화시켰습니다. 업무 중에는 컴퓨터 화면을 들여다보고, 여가 시간에는스마트폰을 내려다보는 현대인의 라이프스타일은 많은 건강 문제를 일으키고 있습니다. 세계적으로 목이나 허리통증을 겪고 숫자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우리가 풀어야 할 큰 과제 중 하나입니다. 목 통증은 태블릿이나스마트폰과 같이 전자 기기의 사용 증가가 원인 중 하나로 손꼽히고 있습니다.

    고개를 앞으로 내민 자세로 고생하고 있다면 많은 설명이 필요가 없습니다. 거북목 때문에 연락을 주시는 분들은자신의 머리가 어깨보다 훨씬 앞으로 나와 있다는 것을 즉시 알아차립니다. 많은 사람의 경우 경추를 제자리에 고정하는 조직들이 약해져서 목의 자연스러운 곡선이 사라지고, 머리의 수직선이 생기면서 시작됩니다. 머리가 점차 앞으로 밀려나면서 목 뒤쪽의 지지하는 조직들이 늘어나거나 찢어지면서 부상 위험에 처하게 됩니다.

    거북목, 그 원인은 무엇일까요?

    구부정한 자세로 화면을 보거나 휴대폰을 내려다보면 목에 엄청난 무리가 가해집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러한 반복적인 잘못된 생활 습관은 목의 자연스러운 곡선을 변화시키게 됩니다. 목의 자연스러운 곡선이 반대 방향으로 변해가는 모습을 “일자목 증후군” 또는 “경추 전만증 상실”이라고 부릅니다. 이러한 목의 자연스러운 곡선의 변화가 밖으로 보이면 쉽게 “거북목”이라고 부르는데요.

    건강한 자세에서는 목뼈가 완만한 C자 모양을 형성하여 머리가 어깨 위로 편안하게 정렬됩니다. 하지만 일자목증후군이 있으면 이러한 자연스러운 C자형 커브가 줄어들게 됩니다. 그 결과, 똑바로 서 있거나 앉아있을 때 머리가 앞으로 쏠려 거의 어깨선보다 앞으로 나오게 됩니다.

    사람이 위를 바라보면 경추 후방 근육과 인대가 조여지면서 경추가 서로 가까워집니다. 휴대폰을 볼 때처럼 고개를 숙이면 후경부 인대가 늘어나고 늘어나면서 근육이 이완되고 척추뼈가 벌어집니다. 많은 사람들의 활동은 몸을 앞으로 숙이고 머리와 목을 앞으로 구부리는 자세를 취하기 때문에, 많은 인대가 장시간에 걸쳐 서서히 늘어나면서 손상될 위험에 노출되게 됩니다.

    볼링공의 무게를 지탱하는 곳, 

    볼링공을 가만히 들고 서 있을 때와 볼링공을 약간 들어 올린 상태로 유지할 때 팔에 가해지는 힘은 상당한 차이가 있습니다. 이와 유사하게, 고개를 앞으로 숙이고 있거나 머리의 위치가 어깨보다 앞으로 더 나와있을수록 머리의 무게를 지탱하기 위해 목 인대와 근육에 가해지는 압력이 증가합니다. 머리가 어깨 위에 편안하게 정렬되어 있는 상태로 정면을 바라볼 때, 머리의 무게는 약 10-14파운드가 된다고 합니다. 만약 머리가 어깨보다 앞으로 2인치 정도 나와있거나 고개가 15도 정도 숙여 있다면, 목은 약 27-32파운드의 무게를 지탱하는 것과 비슷한 효과를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거북목과 두통의 관계

    이러한 이유로 머리와 목의 정렬이 불균형한 경우 목의 불편함에서 그치지 않습니다. 목 부위의 경추에서 발생하는 특정 유형의 두통인 경추성 두통이 발생할 수 있는데요. 일반적으로 10~14파운드의 무게를 지탱하던 목이 갑자기 최대 33파운드까지 지탱해야 한다고 상상해 보시면 좋습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러한 무게 증가는 목 근육을 지치게 하고 긴장과 피로를 유발하며, 결국 만성 두통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머리가 욱신거리는통증을 느낄 때, 하루의 스트레스뿐만 아니라 머리를 들고 있는 자세가 원인일 수도 있다는 점을 생각해 보시면좋겠습니다.

    편안한 목을 위한 습관 개선

    거북목을 예방하거나 개선하기 위해 집에서 시도할 수 있는 몇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첫째로, 고개를 아래로 숙이는 시간을 줄이고, 대신 눈을 사용하여 화면을 바라보는 방법이 있습니다. 또한, 모니터나 TV의 높이를 고개를정면으로 바라볼 수 있는 높이로 조절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장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는 등받이가있는 의자를 사용하고 자주 자세를 바꾸거나 휴식을 취하는 것입니다. 같은 자세로 오랜 시간 동안 유지하면 근육에 피로가 쌓이기 쉽기 때문입니다. 잠깐이라도 걷거나 스트레칭을 통해 움직이는 습관은 장시간 목에 가해지는부담을 줄이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 걸음걸이의 중요성: 관절 건강을 위한 첫걸음

    걸음걸이의 중요성: 관절 건강을 위한 첫걸음

    노후의 삶의 질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대표적인 두 가지로 관절염과 척추질환을 꼽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질환을 야기하는 원인 중 하나로 잘못된 걸음걸이가 지목되고 있습니다. 중장년층에게 관절염이나 척추질환은 일상생활에 상당한 지장을 초래하기 때문에 많은 분들이 걷기 운동을 통해 건강관리를 하십니다. 걷기 운동의 효과를 생각해 볼 때 몇 보를 걸었는가 보다 어떻게 걸었는지가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반복적인 잘못된 걸음걸이는 무릎과 허리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인데요. 우리가 걸을 때 어떻게 걷는지에 대한 생각을 필요로 하지 않을 만큼 걷기는 우리에게 익숙하다 보니 단순하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걷기에는 복잡한 움직임의 패턴이 있습니다. 이러한 패턴을 생각해 보고 몸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 좋은 운동 효과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지에 대한 생각을 해보는 시간은 꼭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무릎 통증을 부르는 주범: 뒤뚱거리는 걸음걸이

    한쪽 무릎이 많이 불편하신 80대 할머님이 기억에 납니다. 그동안 병원 치료도 오래 받으시면서 통증은 많이 줄었으나, 여전히 많이불편해하셨습니다. 집에서 혼자 할 수 있는 운동을 찾으시다가 걷기 운동이 좋다는 이야기를 들으시고 열심히 걷고 계신다고 말씀하셨습니다. 하지만, 걸으면 걸을수록 반대쪽 무릎도 통증이 생기는 것 같아 걱정을 호소하셨습니다. 걷기 운동을 하시는 모습을 보여주셨는데, 뒤뚱뒤뚱 걷는 모습을 바로 알 수 있었는데요. 이러한 불안정한 보행은 체중 이동이 좌우로 크게 흔들리게 하여 무릎에 무리를 줍니다. 비록 걷는 시간이 오래 걸리거나 보행 횟수가 적더라도 몸의 무게가 흔들리지 않고 바른 자세로 걷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보행기나 지팡이를 이용해 몸의 중심이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걷는 것이 통증을 악화시키는 것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바른 걸음걸이를 위한 6가지 실천 요령

    바른 걸음걸이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발의 위치, 착지 순서, 체중이동, 무릎과 발목의 움직임, 팔의 동작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모든 요소를 동시에 의식하며 걷기는 현실적으로 어렵습니다. 그러나 올바른 보행 습관을 잡기 위해 중요한 핵심을기억하고 꾸준히 연습한다면, 시간이 지날수록 의식하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바른 걸음걸이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새로운 보행 패턴을익히기 위해 다음 6가지를 실천하면 평소 사용하지 않던 근육을 활성화시켜 몸의 균형을 잡는데 도움이 됩니다.

    1. 척추가 중립 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아랫배 근육에 긴장 유지하기
    2.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 사이로 땅을 밀어내며 앞으로 걷기
    3. 엉덩이 근육을 사용하여 앞으로 걷기
    4. 발뒤꿈치를 먼저 바닥에 닿게 하기
    5. 양발 사이 간격을 골반 너비로 유지하기
    6. 목이 앞으로 나가지 않게 하고, 어깨와 정렬시키기

  • 10~12살 아이들에게 나타나는 특발성 척추측만증

    10~12살 아이들에게 나타나는 특발성 척추측만증

    Scoliosis in children and adults may affect only the thoracic spine or lumbar spine. However, scoliosis may develop in both spinal regions too. Photo Source: 123RF.com.

    성장기 아이들의 특발성 척추측만증

    척추측만증은 사춘기 직전의 급격한 성장기에 자주 발생합니다. 정상적인 척추는 옆에서 보면 자연스러운 S자 곡선을 이루지만, 앞에서 봤을 때는 일직선이어야 합니다. 하지만 척추가 앞에서 볼 때 10도 이상으로 비정상적으로 휘어져 있다면 이를 ‘척추측만증’이라고 합니다. 척추측만증으로 진단받은 대부분의 사람들은 특별한 치료 없이 정기적인 관찰만으로도 충분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는데요.

    척추측만증은 남녀 모든 아이에게 발생할 수 있지만, 척추의 만곡이 급격히 악화되어 정밀 치료가 필요한 경우에 여자 아이들에게 더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여아의 경우 사춘기 동안 급격한 성장을 겪으면서 척추측만증 곡선이 악화될 수 있다는 가설이 있습니다. 이렇게 성장기에 발생하는 척추측만증을 특발성 척추측만증이라 분류하며, 대부분의 척추측만증이 여기에 속합니다.

    한국 아동의 척추측만증 상황

    2011년 고려대학교에서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100만 명의 아이들을 대상으로 척추측만증 유병률을 조사한 결과 한국 학생들 사이에서 3.26%의 유병률을 보였습니다.

    특히 여학생의 경우 4.65%로 남학생 1.97%보다 훨씬 높게 나타났는데요. 연령별로는 10-12세 여학생에서 가장 높은 5.57%의 유병률을 보였습니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해 척추측만증이 한국 학생들 사이에서 비교적 흔하며, 이 추세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고 보이고, 연령과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Figure 2: Depiction of the standing assessment and Adam’s Forward Bending test done to screen for scoliosis. https://www.hajim.rochester.edu/senior-design-day/skolio-mount/

    아담스 전방 굽힘 검사

    위에서 발표한 연구 자료에 따르면 전방굽힘 검사에서 양성반응을 보인 약 78,000명의 아동 중, 37,000명만이 엑스레이 검사에서 10도 이상 차이나는 유의미한 양성 판정을 받았습니다. 즉, 53%의 아동이 거짓 양성 반응을 보였다는 것인데요. 거짓 양성이 있더라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다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하여 이 검사는 상당히 유용하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 아이가 전방으로 몸을 굽혔을 때 척추가 일자로 뻗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 척추 양쪽이 동일한 곡선을 그리고 있는지 살펴보세요.
    • 허리와 등의 한쪽이 다른 쪽보다 더 돌출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 허리 라인이 수평을 유지하는지 관찰하세요.
    • 전반적인 체형이 좌우로 틀어져 있는지 검토하세요.

    초기에는 항상 통증을 동반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성장기 동안 악화되는 것을 방지하려면 조기 발견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합니다.

    적절한 치료는 척추측만증을 완전히 치료하는 것이 아니라, 그 진행을 늦추고 정신적 부담을 줄이며, 심한 척추 변형과 미래의 건강 문제를 예방하는 데 목표를 둡니다. 자녀가 비정상적인 척추 만곡을 보이면, 망설이지 말고 바로 의사의 진찰을 받으시길 권장합니다. 특히 성장기 여아의 경우, 조기에 문제를 파악하고 개입하는 것이 척추측만증이 심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Reference
    Suh SW, Modi HN, Yang JH, Hong JY. Idiopathic scoliosis in Korean schoolchildren: a prospective screening study of over 1 million children. Eur Spine J. 2011 Jul;20(7):1087-94. doi: 10.1007/s00586-011-1695-8. Epub 2011 Jan 28. PMID: 21274729; PMCID: PMC31766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