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y: Sticky Notes

  • 거북목에 대해서

    거북목에 대해서

    거북목에 대해서

    일반적으로 거북목에 대한 이야기를 할때면 자연스럽게 자세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거북목에 대한 문제를 인식하고 있는 것은 좋은데, 그 이유가 외적으로 보이기에 그렇게 좋아 보이지는 않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근데 실제로 겉으로 보면 자세가 좋아 보이지만 X-ray로 촬영하면 거북목이나 일자목이 나타날 수 있고, 반대로 겉으로 거북목처럼 보이지만, X-ray로 촬영해보면 목에 좋은 C자 모양의 커브가 남아있기도 하다.

    진짜 문제 #1: Cervical gravitational line

    위에 그림에서 보면 가운데에 긴 선이 그려져 있는데, 그 긴 선은 머리 무게 중심의 위치를 의미한다. 왼쪽 (a) 같은 경우는 무게가 균등하게 커브 모양에 따라 잘 분배되어 있고, 그 무게가 척추의 중간 (vertebral body)에 분배되면서 안정적으로 보여진다. 반대로 오른쪽 (b) 같은 경우는 무게가 앞 쪽으로 많이 쏠려있기 때문에 목이 긴장되어 있는 상태로, 구조적으로 불안정한 상태를 유지할 수 밖에 없다.

    진짜 문제 #2: Bone spurs

    Bone spurs는 뼈 바깥쪽에 새롭게 자라는 뼈를 의미한다. 바깥쪽으로 새로 자란 뼈라는 의미는 쉽게 말해서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있는 부분이라는 걸 의미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큰 바위에 물방울이 20년, 30년 동안 같은 위치에 떨어진다면, 그 부분과 주변의 바위는 물방울이 떨어지며 생긴 스트레스의 흔적을 남기며 점차 형태가 변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머리 무게라는 중력을 계속 버텨야 하는데, 그 무게 중심이 앞 쪽으로 쏠려 있을수록 척추도 모양이 그에 맞게 변하게 되는 것.

    근데 이게 척추 뒤 쪽으로 생기게 되면 그 척추가 서로 맞닿아 있는 곳에 일어나기도 하는데, 그러면 그걸 osteophytes라고 부른다. 그것도 마찬가지로 뼈가 스트레스에 대해 적응하면서 새로 자란 뼈들인데, 이 부분이 척추 신경들이 지나가야 할 공간을 조금씩 침범하다가 건들게 되면 말로 표현할 수 없는 통증을 겪게 된다.

    자세가 중요한 이유가 보여지는 부분보다는

    이렇게 쌓이고 쌓이는 스트레스가 뼈의 모양을 바꾸기 때문에

    바른 자세로 몸의 무게를 균등히 골고루 잘 분배시켜야 척추 관리를 할 수 있다.

  • 균형 감각 = 눈 + 귀 + 자세

    균형 감각 = 눈 + 귀 + 자세

    어지럼증은 천장이 빙 빙 도는 듯한, 아니면 주변이 빙 빙 도는 듯한 어지럼증도 있는가 반면, 잘 걸어가다가 갑자기 픽 중심을 잃고 넘어질 것 같아 다시 중심을 잡아야 하는 듯한 어지럼증, 술에 취한 듯한 느낌의 어지럼증, 또 배 위에서 걷고 있는 것 같은 듯한 어지럼증. 여러 균형 문제를 어지럼증이라고 쉽게 표현하는데요.

    몸의 균형은 세 가지 감각 정보에 의해서 컨트롤 되는데요. 이런 균형 시스템이 무너지면 몸에서 나타나는 증상으로는 쉽게 ‘어지럼증’이라고 이야기합니다.

    (1) 시각 정보

    뇌가 유일하게 척추를 bypass하고 직접적으로 정보를 받을 수 있는 곳은 우리 인체에서는 눈밖에 없어요. 머리는 tilt가 생기더라도 눈은 항상 horizontal을 유지합니다. 목 상단에 위치하고 있는 근육들은 head-eye coordination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데요. 눈이 공간 위치를 어떻게 인식하느냐에 따라 몸의 자세에도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2) 안 쪽 귀

    안 쪽 귀 (inner ear)도 마찬가지로 안에 크리스탈이 둥 둥 떠다니는데요. 머리의 위치가 변하면 중력에 의해서 그 크리스탈이 자리를 옮겨 다니며 우리 몸의 위치를 파악합니다. 그런데 가끔 이 크리스탈이 이상한 곳에 잘못 끼거나, 눈이랑 몸이랑 주고 받는 감각 정보들이 싱크가 안맞으면 주변 환경이 빙 빙 돌거나, 본인은 가만히 있는데 천장이 빙 빙 도는 듯한 어지럼증을 경험할 수 있어요. 이런 어지럼증을 Vertigo라고 해요.

    (3) 자세

    우리 몸 조인트 사이 사이마다 proprioceptive input, 균형 감각 정보를 보내는 신경들이 있어요. 몸이 틀어져 있거나 무게 중심이 달라지면서 시각 정보랑 귀가 보내는 신호와 싱크가 안맞으면, 우리 뇌가 우리 자세가 현재 공간에서 어떻게 위치하고 있는지에 대한 인식 기능에 문제가 생기면서 어지럼증이 생길 수 있어요.

  • 뒤뚱 뒤뚱 걷는 걸음걸이

    뒤뚱 뒤뚱 걷는 걸음걸이

    전에 <걸음걸이의 중요성: 관절 건강을 위한 첫걸음>이라는 짧은 글을 쓴적이 있었는데, 이 글의 요점은 이랬어요. 걸음걸이가 무릎과 골반, 허리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내용인데요. 그 이유는 어떻게 걷는가에 따라서 몸의 무게 중심이 움직이는 방향과 위치가 달라집니다.

    뒤뚱 뒤뚱 걷는 걸음 걸이는 몸의 무게 중심을 양 옆으로 무게를 분산시키게 되는데요. 이런 걸음걸이는 주로 한 쪽 무릎이나 발목에 있는 통증을 줄이기 위해 나타나는 걸음걸이라고 보여져요. 지팡이를 짚고 계신 분들도 통증이 있는 쪽 무릎이나 관절을 보호하기위해 걸을 때 몸무게가 반대쪽, 통증이 없는 쪽으로 많이 옮겨지는데요.

    이렇게 계속 뒤뚱 뒤뚱 걷게되면, 현재 통증이 있는 무릎의 관절은 잠시나마 보호할 수 있을지 몰라도, 현재 통증이 없는 무릎에 무리가 되어서 양 쪽 무릎이 점 차 더 안좋아지게 될 거에요.

    천천히 걷거나, 빠르게 걷거나 우리 몸의 무게 중심이 중간에서 안정적이게 움직여야 합니다. 특히 매일 매일 반복해야하는 움직임인 경우 더 신경써야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