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journal

리셋 버튼 Going back to basics

리셋 버튼 Going back to basics.

11월 28일 2024년 일기

내가 만든 나만의 리셋 버튼이 있는데

나에게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생각해 보도록 한번씩 돕는 버튼이 있어요. 그것이 인간 관계가 될 수도있고, 습관적인 건강하지 않은 생각이 될 수도 있죠. 이 버튼은 경제적인 부분에서도 사업적인 부분에서도 한번씩 재정비할 때 큰 도움이 되는데, 나에게 가장 중요한 가치가 무엇인지 한번씩 재검토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 같습니다.

마찬가지로 건강 관리에 대한 부분도 이 ‘리셋 버튼’을 적용해보면서

몇 가지 느낀 점이 있었는데

어쩌면 너무나 당연한 말일수도 있지만

(1) 건강 관리는 습관 관리다.

결국 매일 하는 습관이 ‘나’라는 사람을 만들어요. 건강 관리도 마찬가지라는 생각이 듭니다. 비유를 든다면 내가 어쩌다 한번 밤에 폭식한 초코렛이 문제가 아니라, 평소에 어떤 음식을 먹는 습관을 갖고 있는지가 ‘나’를 만들어요. 내가 매일 하는 활동들이 모여서 사업이 굴러가듯, 매일 하는 나의 루틴, 즉 baseline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그리고 개인이 갖고 있는 삶에 대한 태도가 평소에 습관처럼 하는 생각들이 흘러가는 방향에 미치는 영향이 굉장히 큽니다. 그래서 평소 생각의 기본값이 긍정적인 사람을 좋아합니다.

자기 관리라는 건 시간을 정해두고 어떤 행동을 요구하는 행위에 대한 성취감같은 것이 아니라

그냥 본인의 습관들을 냉정하게 봤을때 건강한 것들이 좋지 않은 것들보다 비교할 수 없을정도로 많다면 자기 관리를 잘 하고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고 생각해요. 대부분의 사람들은 가장 기본적인 꾸준히 운동하는 것 조차 힘들어하고, 물을 하루에 1리터도 마시지 않는 사람들이 생각보다 정말 많습니다.

(2) 먹는게 나다. We are what we eat, so be mindful.

우리가 먹는 음식들이 몸에서 에너지로 사용해요. 몸에서 소화시키면 그냥 다 같은 ‘칼로리,’ 아니면 에너지원으로 분해되는 것 아니야? 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영양의 관점으로 봤을 때 자연에서 깨끗하고 (chemical/toxin free) 좋은 영양분을 먹고 자란 재료로 사용한 음식과 패스트 푸드점에서 만든 인공 음식을 비교하면 맛을 떠나 영양소 퀄리티의 차이가 너무 크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건 마치 목이 마를 때

깨끗한 물을 $5불주고 사먹는 건 할 수 있지만

콜라를 $1불주고 사 먹는 것 조차 아깝다고 느껴지는 이유랑 비슷한 것 같습니다.

(3) 나도 모르게 중독되어있는 것들

그게 끊지 못하는 인간 관계가 될 수도 있고, 매일 마셔야하는 커피처럼 입으로 들어가는 음식이 될 수도 있구요. 어쩌면 필요에 의해서 먹어야하는 약이 될 수도 있고, 운동, 골프나 여행과 같이 좋아하는 활동이 될 수도 있고, 본인이 아끼는 시계나 자동차와 같이 물건이 될 수도 있어요.

습관적으로 하는 행동들이 좋고 나쁜 것을 떠나서

자신이 무엇에 중독되어 있는지 (addicted) 아니면

무엇에 얽메여 있는지 (attached)를 좀 냉정하게 판단해 보고 싶다면

자신에게 가장 중립적인 상태 아니면 아무것도 필요하지 않은 상태가 무엇인지 생각해보는 시간을 갖는 것이 나 자신을 좀 냉정하게 이해하는데 도움이 컸던 것 같습니다. 많은 문제들의 해결은 인식하는 것이 반이라는 생각이 들기도 하는데요.

그래서 저는 저에게 한번씩 리셋 버튼을 눌러보고 내가 무엇에 의존하고 있는지 살펴보는 프랙티스를 하려고 합니다. 저 같은 경우는 지역을 옮기는 상황으로 인해서 4년에 한번씩 눌렀던 것 같은데, 이번엔 조금 빨리 2년만에 다시 누르게 되면서 기록으로 남겨보자는 생각이 들었던 것 같아요.

Categoriesshort essays

컴퓨터 마우스가 우리 몸에 미치는 영향

컴퓨터 마우스가 우리 몸에 미치는 영향

컴퓨터 마우스의 사용이 팔목과 어깨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자료를 읽고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부분을 이해하기 쉽게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그 이유는

팔목 통증, 어깨와 목에 생기는 근육 긴장과 관련된 많은 문제들이 컴퓨터 사용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데요. 실제로 잘못된 자세로 오랫동안 움직임을 반복한다면 굉장한 스트레스가 오랜 시간동안 쌓여왔을 수 있습니다.

자료 1
The effect on forearm and shoulder muscle activity in using different slanted computer mice, Han-Ming Chen , Chun-Tong Leung,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abs/pii/S0268003307000101

제목을 쉽게 풀어서 번역하면

컴퓨터 마우스 경사 (slanted angle)에 따른 어깨/팔 근육 활동에 미치는 영향,” 이런식으로 번역할 수 있을것 같은데요.

보통 마우스를 사용할 때 손바닥을 마우스 위에 올려놓고, 검지와 중지로 클릭과 우클릭을 합니다. 마우스 커서를 움직일 때는 팔목을 좌우로 꺾거나 팔을 움직이게 되죠.

흥미로운점은 이런 마우스 사용이 우리 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과학자들은 생각보다 훨씬 오래전부터 연구해왔더라고요. 1994년과 1999년의 연구 자료들을 인용한 사실을 보면, 이미 그때부터 마우스와 키보드 사용이 팔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었습니다.

특히 마우스를 사용할 때 팔목이 비틀리거나 꺾이는 자세(전문용어로는 ‘extension and ulnar deviation’이라고 해요)는 팔목, 팔등(forearm), 팔꿈치에 잠재적인 부상 위험을 일으킬 수 있다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컴퓨터 마우스의 각도가 우리 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흥미로운 실험이 진행되었는데요. 연구팀은 12명의 참가자들에게 30분 동안 텍스트 편집 작업을 하도록 했습니다. 이때 마우스의 각도를 다섯 가지로 다르게 설정했고, 특수 장비(surface electromyography)를 사용해 팔과 어깨 근육의 움직임을 정밀하게 측정했어요.

측정한 근육들은 팔목과 팔, 어깨 부위의 주요 근육들이었는데요:

  • 팔목의 바깥쪽 근육(extensor carpi ulnaris)
  • 손가락 폄 근육(extensor digitorum)
  • 아래팔 회전 근육(pronator teres)
  • 어깨 근육(upper trapezius muscles)

연구 결과를 보면 재미있는 사실이 발견되었습니다. 마우스의 각도를 높여서 팔등이 수직(90도)에 가까워질수록:

  • 팔목 근육과 어깨 위쪽 근육(승모근)의 활동은 줄어들었어요
  • 하지만 다른 근육들(팔목 폄 근육, 손가락 폄 근육, 팔등 근육)의 활동은 오히려 증가했습니다.

그렇다면 마우스를 수직으로 세우는 게 무조건 좋을까요? 연구 결과는 ‘그렇지 않다’고 말하고 있어요. 오히려 마우스가 지면과 30도 각도를 이룰 때 팔과 어깨 근육들이 가장 자연스러운 상태를 유지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결론적으로 연구진은 마우스를 사용할 때 근육의 개입이 적을수록 근골격계 부상 위험도 줄일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이는 우리가 평소 마우스를 사용할 때 적절한 각도를 유지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보여주는 좋은 예시가 되겠네요.

개인적인 생각
디자이너, 건축가, 아니면 마우스로 섬세한 작업을 해야 하는 직업을 가진 분들은 더욱 주의가 필요합니다. 반복적인 마우스 사용이 팔목, 어깨, 목에 미치는 영향을 무시할 수 없는데요.

혹시 이런 증상들을 경험한 적이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

  • 팔목이 찌릿찌릿하게 아픈 경험
  • 거북목이 되어가는 것 같은 느낌
  • 팔이 저리거나 무감각해지는 증상
  • 목이 뻣뻣하거나 어깨가 불편한 상태
  • 한쪽 날개뼈가 튀어나온 것 같은 비대칭

이런 신호들이 나타난다면

지금 본인의 작업 환경을 꼼꼼히 점검해볼 때입니다. 처음에는 어색할 수 있지만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과 인체공학 마우스, 키보드에 투자하는 것이 장기적으로는 다양한 근골격계 문제를 예방할 수 있는 현명한 투자가 될 수 있어요.

구조적으로 볼 때

우리 몸은 안다치는게 가장 좋다고 생각해요. 특별한 이유가 있거나 운동 선수가 되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면요.

Categoriesjournal

미국 건강보험의 역사적 발전과 딜레마 (1929-1965)

미국 건강보험의 역사적 발전과 딜레마 (1929-1965)

미국 건강 보험의 역사

Private insurance가 발달하게 된 계기는 개인이 부담하는 병원 비용이 커지면서부터였다. 1929년 Baylor University Hospital이 1,500명의 학교 선생님들과 계약을 맺었는데, 이는 현재 미국의 HMO (In-network) 보험 제도와 비슷하다. 이 제도는 직원들에게 1년에 $6을 지불하면 정해진 해당 병원에서 의료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었다. 이 보험 계약의 단점은 계약을 맺은 병원에만 갈 수 있다는 점. 이후 사립 보험 회사들(예: Blue Cross Blue Shield)이 미리 보험료를 받고 병원 선택의 자유를 주는 PPO (out-of-network) 보험 제도로 발전하게 된다.

미국에 대공황(The Great Depression)이 찾아오면서 사람들이 의사들에게 직접 현금(out-of-pocket)으로 지불하는 것이 점점 힘들어지자, 건강 보험이 주목받기 시작했다. 유럽의 건강 보험 제도가 소비자 중심(consumer-driven)으로 발전한 것과 달리, 미국은 의사와 병원들(health care providers)의 안정적인 수입(steady income)을 위해 건강 보험 제도가 발달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직원 채용이 어려워진 시기가 있었는데, 이때 회사들은 임금 인상 대신 다양한 혜택으로 보상하는 방법을 모색하게 된다. 노동조합이 이러한 추세를 포착하고 직원들을 위한 건강 보험 혜택을 협상 항목에 포함시키면서 고용 기반(employment-based) 건강 보험이 급속도로 발전하게 된다. 1940년에 1,200만 명이 사용하던 것이 1955년에는 1억 100만 명으로, 거의 10배가 증가하게 된다. 정부는 이러한 직원 혜택을 위해 회사가 지불하는 건강 보험료를 비과세 대상으로 지정하게 된다.

Healthcare 분배의 메커니즘

Experience Rating

건강 보험은 기본적으로 지불 능력이 아닌, 의료 서비스(health care) 필요도를 바탕으로 보험료(premium)를 계산한다. 건강 보험에서는 두 가지 방식으로 보험료를 산정하는데, 그 중 하나인 Experience Rating의 예시:

은행원: 월 $100
트럭 운전사: 월 $300
광부: 월 $500
평균: 월 $300

이는 개인이 장기적으로 가질 수 있는 건강 위험 요인을 고려하여 계산한 것으로, 이러한 방식으로 계산된 1인당 평균 건강 보험료는 월 $300이 된다. Blue Cross와 같은 보험사들은 Commercial 보험사들과의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젊고 건강한 가입자들을 유치해야 했는데, 이것이 바로 경험률 산정 방식이 도입된 직접적인 사례가 될 수 있다.

Community Rating

이 방식에서는 건강한 사람은 납부하는 보험료에 비해 혜택을 적게 받고, 건강이 좋지 않은 사람은 더 많은 혜택을 받게 된다. 건강한 사람의 보험료로 건강하지 않은 사람들을 지원하는 이 방식은 질병(illness)을 예측 불가능한(unexpected) 사건으로 보고, 갑작스러운 의료 서비스 필요 상황에 대비하기 위한 제도이다. Community Rating의 예시:

은행원: 월 $300
트럭 운전사: 월 $300
광부: 월 $300
평균: 월 $300

이러한 Community Rating이 없다면, 노인이나 건강이 좋지 않은 사람들은 점차 건강 보험의 혜택을 제대로 받을 수 없게 된다. 기존 질환이 있는 사람들이나 고령자들의 경우, Experience Rating 제도가 차별적(discriminatory)으로 느껴질 수 있다. 반면, 건강한 사람들은 본인들이 내는 돈을 왜 건강이 좋지 않은 사람들에게 혜택을 지원해야 하는지 의문을 제기할 수 있다.

건강 보험의 양면성: 혜택과 비용의 균형

기본적으로 건강 보험을 구매할 때 개인은 언제 건강 상태가 악화될지 예측할 수 없다. 따라서 전체 가입자 그룹의 관점에서 볼 때, 당장 의료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위험(risk)에 대비하여 보험료를 지불해야 한다는 개념이다.

하지만 건강한 사람들은 높은 보험료를 납부하면서도 실질적인 경제적 혜택을 받지 못하기 때문에, 이미 건강이 좋지 않은 사람들을 위한 Community Rating에 자발적으로 참여하기를 꺼리게 되고, 결과적으로 이들은 건강 보험 경쟁 시스템에서 자연스럽게 줄어들게 된다.

건강 보험의 가장 큰 장점은 심각한 건강 문제가 발생했을 때 경제적 부담을 크게 줄여 준다는 점이다. 반면 또 다른 큰 문제점은 정확한 가격 산정이 어렵다는 점이다.

예를 들면, 현금으로 직접 결제(out-of-pocket)하는 환자들은 필요한 상황에서 가격과 이용 빈도를 신중히 고려하는 반면, 좋은 보험을 가진 환자들은 경제적 부담이 적어 불필요한 의료 서비스도 더 자주 이용하게 된다. 또한, health care provider가 환자에게 직접 청구하지 않고 제3자인 보험회사에 청구하게 되면서 서비스 가격을 더 쉽게 인상할 수 있게 된다.

건강 보험 제도는 직접 현금 지불 방식 (out-of-pocket)의 부담을 해결하고자 시작하였으나, 오히려 새로운 문제들을 만들어냈다.

  1. 환자들이 직접 의료비를 지불하지 않게 되면서
  2. 의료 서비스 이용이 증가하고
  3. 의료기관이 환자가 아닌 보험회사에 비용을 청구하게 되면서
  4. 가격 인상이 용이해지고
  5. 보험회사가 대형 병원과 의사들에게 의존할수록 문제가 심화되는 점.

결과적으로, 의료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시작된 보험 제도가 오히려 의료 서비스 비용(costs)을 크게 증가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Medicare와 Medicaid의 도입 배경

Blue Cross Blue Shield와 같은 private insurance들이 experience rating과 employment-based 건강 보험 제도를 중심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저소득층이나 만성 질환자, 그리고 건강 위험이 큰 노년층의 경우 점차 이러한 보험 가입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했다.

1950년대에 보험료를 납부할 수 있는 가정에는 큰 도움이 되었지만, 노인층과 빈곤층은 제도에서 소외되어 상황이 더욱 악화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1965년 세금으로 운영되는 government-financed insurance 제도인 메디케어(Medicare)와 메디케이드(Medicaid)를 도입하게 된다.

Reference
Bodenheimer, Thomas S., and Kevin Grumbach. *Understanding Health Policy: A Clinical Approach*. 8th ed., McGraw-Hill Education,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