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트 #1: 좋은 관계를 맺기 위해서

12월 4일 2024년

‘생각보다 인생은 짧고, 시간은 없다.’

30대가 들어서면서 나에게 일어난 큰 변화 중 하나는 ‘관계에 대한 태도’라는 생각이 듭니다. ‘생각보다 인생은 짧고, 시간은 없다.’ 라는 것이 직접적으로 느껴지니, ‘나에게 가장 중요한 것들이 무엇일까?‘ 라는 고민을 자주 하는 것 같습니다. 이 고민에 대한 대답이 결국 내 시간에 대한 가치가 아닐까? 라는 생각 때문인데요.

내가 어디에 앞으로 나의 시간을 투자할지, 그리고 그 시간들이 내가 바라보는 삶의 방향과 맞는지, 이러한 부분들이 내가 삶의 우선 순위를 정할 때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시간이 지나 되돌아보니 삶에서 본질적으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부분 중 한 가지는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라는 것을 깨달았는데요. 사람 관계는 누가 옳고 그른가에 대한 문제보다 사회적으로 그냥 함께 어울려 사는 존재라는 말이 크게 와 닿았습니다.

건강한 인간 관계를 위해서는 함께 있을 때 편해야 하고, 그러려면 서로를 존중하는 마음이 있어야 하는 것 같습니다. 내가 생각하는 사람들을 편하게 해주는 사람들의 공통점을 생각해 보면

(1) 열린 마음으로 사고하는 사람들
(2) 메타 인지가 높은 사람들
(3) 본인의 행동과 감정에 책임지고
(4) 서로간의 독립성을 존중하며
(5) 작은 비판에 방어적이지 않은 사람들

이러한 특징들이 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반대는 어떤 모습을 하고 있을까요?

만약 불필요한 감정 소모를 계속 유발하는 관계가 있다면 그런 상황을 피하고 싶어합니다. 누가 맞고 틀린가를 위한 불필요한 논쟁보다도, 누군가를 평가하는 자리는 불필요한 생각을 만들고 쓸데없는 에너지를 소비시키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좋은 인간 관계를 위해서는 서로에게 더 많은 ‘인정’이 필요하고 ‘지적’은 없애야 하는게 맞는 것 같습니다.

나를 알아가는 것에 대한 의미

사람들은 서로 자라온 환경과 생각들이 다 다르기 때문에 나와 잘 맞는 사람을 찾는 것 보다는 서로 존중하며 잘 맞춰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살아왔어요.

이제는 생각이 조금 달라진 것 같습니다. 좋은 사람들을 만나고 싶다면, 나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에 대해서 깊은 성찰을 해보는 시간을 갖고, 그런 사람들을 잘 알아볼 수 있는 안목을 길러야 한다는 생각인데요.

그 이유는

(1) 내가 나 자신을 냉정하게 이해하고 있어야 
(2) 나의 장점과 단점 모두를 수용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기고
(3) 나 자신을 있는 그대로 괜찮은 사람이라고 인정할 수 있어야
(4) 완벽하지 않은 타인도 포용할 수 있는 여유가 생길 수 있다.

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자신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면 그 만큼 다른 사람의 단점이 부각되어 보이고, 불필요한 지적이나 평가로 이어지는 것 같습니다.

그 동안 내가 느낀 좋은 인간 관계를 위한 3가지 방법

  • (1) 싫어하는 것들에 대한 지적보다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들에 대한 칭찬이 훨씬 관계에 효과적이다.
  • (2) 관계에서 불필요한 마찰들이 잦다면, 서로가 말의 단어 하나 하나에 큰 의미를 부여하지 말고, 가끔은 그냥 유머로 넘어갈 줄 아는 센스가 필요하다.
  • (3) 상대의 감정에 공감하기 힘들면 그냥 진심으로 귀 기울여 들어주는 것이 최선의 해결책이다. 공감하기 힘들더라도 중요한 건 상대방이 왜 그렇게 느끼는지 호기심을 갖고 물어보는 것 만으로도 많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From Esther Perel: How to Find, Build & Maintain Healthy Romantic Relationships

It seems that so much of navigating a relationship in healthy versus unhealthy ways depends on this internal dynamic within ourselves of an ability to be in close, intimate relationship. And yet, hold on to enough of our own identity, and evolve that identity within the relationship to the other.

That is a definition of intimacy, and that is probably the number one task of every relationship or romantic relationship is.

How do I get close to you without losing me? How do I hold on to me without losing you?

Now, you know I said to you in the beginning that we grow up and we have both needs, togetherness and separateness.

And then we come out of our childhood,

and some of us need more space, freedom, separateness,

and some of us need more connection, protection, togetherness.

Of course, we tend to meet somebody whose proclivities match our vulnerabilities,

and so you find that in many relationship:

you have one person who is more afraid of losing the other, and one person who is more afraid of losing themselves. One person more afraid of fear of abandonment, one person more afraid of fear of suffo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