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journal

자동차 후방 추돌 사고로 인한 위플래쉬 부상 (Whiplash injury)에 대한 설명

자동차 후방 추돌 사고로 인한 위플래쉬 부상 (Whiplash injury)에 대한 설명

많은 사람들이 종종 경험하는, 하지만 무시되거나 간과되기 쉬운 경미한 교통사고의 후유증에 관한 이야기인데요. 많은 사람들은 교통사고 후 외부에 드러나는 상처가 없으면 괜찮다고 생각하시는 경우가 있습니다. 가끔은 그냥 시간이 지나면 자연히 치유되는 상대적으로 사소한 근골격계 부상 정도로 생각하기도 하는데요. 하지만 후유증의 원인을 이해하고 조기에 대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동차 사고 (후방 추돌 사고)와 관련된 잦은 후유증이 보고됨에도 불구하고 정확한 원인들이 완전히 이해되지는 않고 있습니다. 그 이유 중 하나는 X-ray 또는 MRI로 감지할 수 있는 정확한 데미지가 반드시 나타나는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자동차 사고에서 발생하는 목 부상을 ‘위플래쉬(Whiplash injury)’라고 부르는데요. 여기서 ‘Whip-‘이라는 단어는 ‘채찍질’을 하는 동작에서 유래되었어요. 위플래쉬는 자동차 후방 추돌 사고에서 주로 발생하는 목 부상으로, 목이 채찍질을 하는 듯한 움직임으로 인해 발생하는 부상을 말합니다. 사고 시 차량이 급격하게 정지하거나 충돌로 인해 몸이 앞으로 튕겨 나가지만, 안전벨트가 몸을 고정시켜주고 있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목은 채찍처럼 힘을 받아 근육, 인대, 신경 등에 큰 부담이 가해지면서 겉으로 보이지 않는 부상을 일으키게 되요.

이러한 자동차 후방 추돌 사고 시 가해지는 힘에서 비롯된 목의 부상으로 인해 일으키는 증상들은

  • 목이 굳은 듯한 느낌과 움직임에 따른 통증
  • 목 통증
  • 두통 (주로 목 위쪽에서 시작)
  • 어깨와 팔, 등 위쪽에 있는 통증
  • 팔의 촉감이 떨어지거나 무감각함
  • 극심한 피로
  • 어지러움
  • 시야가 흐릿해짐
  • 집중력 저하
  • 소화 불량
  • 구토 증세

이런 증상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비슷한 경미한 사고가 나더라도 사람마다 다른 후유증을 일으키는 이유

자동차 사고는 아주 경미한 접촉 사고에서도 (8.7 mph) 운전자가 후유증을 겪을 수 있어요. 자동차가 얼마나 고장났는가와 충돌할 때 차의 속도, 그리고 운전자가 겪는 후유증이 정확히 비례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면, 자동차 사고가 발생하는 순간 고개가 앞을 향해 바라보고 있는 자세보다 한 쪽 방향으로 고개를 틀고 있었을 경우 목 부상으로 인한 후유증이 더 심각하고 오래 지속될 수 있어요.

또, 자동차에 큰 데미지가 없더라도 임팩트가 생기는 순간 그 두 자동차의 속도 차이가 실제 목 부상에 큰 영향을 끼쳐요.

고개를 한쪽 방향으로 바라보고 있을 때 이미 인대가 늘어나 있는 상태에서 충돌하는 임팩트가 목으로 전달되게 되면, 고개는 뒤로 젖히게 되고, 그 과정에서 더 큰 부상이 발생합니다.

쉽게 말하면

고개가 앞을 향하고 있는 경우, 후방 추돌 사고를 당하면 목은 2D로 부상을 입게 되지만, 고개를 한 쪽으로 틀고 옆을 바라보고 있는 경우 목은 3D로 부상을 입게 되는 것과 비슷합니다. 이런 부상이 척추에 불안정성을 일으키게 되고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게 됩니다.

자동차 후방 추돌 사고 시 후유증을 줄이기 위해 확인할 것 한 가지

자동차를 만든 엔지니어들은 운전자가 올바르게 의자에 앉아서 주행을 할 것이란 가정하에 안전성이 디자인되어 있습니다. 운전자가 올바른 자세로 운전을 한다는 의미

(1) 머리 받침대의 위치는 뒤통수에서 3인치 이내에 위치하고 있어야 합니다.
(2) 고개는 정면을 바라보고 있어야하고
(3) 골반은 의자 가운데에서 허리를 곧게 피고 앉아있는 상태에서
(4) 양 손이 핸들위에 놓여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이러한 자세로 운전하기 쉽지 않아요. 우리는 운전 중 교통 상황도 확인해야 하고 옆자리에 앉아있는 친구와 이야기도 하고, 노래를 듣고 몸을 움직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자동차 후방 추돌 사고가 일어났을 경우에 큰 부상을 줄이기 위해서는 올바른 자세로 운전하는 것을 습관화해야 한다고 생각해요. 여성분들같은 경우 헤어 클립과 같은 어떤 물건에 의해서 2차 부상을 당하는 경우가 있으니 주의할 수도 있겠구요.

Categoriesjournalshort essays

자신을 잃지 않는 것

Netflix: Malcom and Marie

자신을 잃지 않는 것

30대가 들어서면서 나에게 일어난 큰 변화 중 하나는 ‘관계에 대한 태도’라는 생각이 듭니다. ‘생각보다 인생은 짧고, 시간은 없다.” 라는 것이 느껴지다보니 나에게 가장 중요한 것들이 무엇일까? 라는 질문에 대한 고민을 했던 것 같습니다.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이 제 시간의 가치 (priority)를 정한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그런 고민을 하다가 본질적으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인간 관계’였습니다.

사람은 누가 옳고 그른가에 대한 문제가 아니라 함께 어울려 사는 사회적인 존재라는 말이 확 와 닿은 적이 있었어요.

오고 가며 만나는 옆집 아저씨.
점심 시간에 자주 가는 김밥집 사장님.
헬스장 리셉션에 앉아계시는 분들.

잠깐이라도 일상에서 주고 받는 작은 교류들이 하루 행복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라는 것을 느끼고, 그 이후로 just be kind 라는 말을 더 좋아하게 됬습니다.

그러다 어느 날 문득

내가 계속 만나고 싶어하는 사람들은 누굴까? 라는 질문을 저에게 한 적이 있었어요. 그 질문에 대한 저의 대답은 그냥 편한 사람들입니다.

사람들은 본인과 편한 사람들과 있고 싶어합니다.

다른 사람들을 편하게 해주는 사람들의 공통점을 생각해 본적이 있었는데요.

(1) 열린 마음으로 사고하는 사람들
(2) 메타 인지가 높은 사람들
(3) 본인의 행동과 감정에 책임 질 줄 아는 사람들
(4) 서로간의 독립성을 존중할 줄 아는 사람들
(5) 작은 비판에 방어적이지 않은 사람들

반대로

사람들은 대부분 불필요한 감정 소모를 계속 유발하는 관계를 피하고 싶어할거에요. 누가 맞고 틀린가보다 서로 감정 소모하는 방식이 달라서 쉽게 트리거가 되면 의도치 않게 서로 피곤한거죠.

좋은 관계들을 맺기 위해서

물론 항상 편한 사람들과만 지낼 수는 없습니다. 불편한 관계나 상황에서도 본인의 평정심을 잃지 않고 잘 지낼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이 감정적으로 성숙한 모습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본인에게 잘 맞는 좋은 사람을 만나고 싶다면 자기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에 대해서 깊은 성찰을 해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1) 본인을 잔인하고 냉정하게 이해하고 있어야
(2) 자신의 장점과 단점 모두를 수용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기고
(3) 자기 자신을 있는 그대로 괜찮은 사람이라고 인정할 수 있어야
(4) 완벽하지 않은 타인도 포용할 수 있는 여유가 생길 수 있다고 생각해요.

그래서 좋은 관계를 위해서는 서로에게 더 많은 ‘인정’이 필요하고 ‘지적’은 없애야 합니다.

It seems that so much of navigating a relationship in healthy versus unhealthy ways depends on this internal dynamic within ourselves of an ability to be in close, intimate relationship. And yet, hold on to enough of our own identity, and evolve that identity within the relationship to the other.

That is a definition of intimacy, and that is probably the number one task of every relationship or romantic relationship is.

How do I get close to you without losing me? How do I hold on to me without losing you?

Now, you know I said to you in the beginning that we grow up and we have both needs, togetherness and separateness.

And then we come out of our childhood,

and some of us need more space, freedom, separateness,

and some of us need more connection, protection, togetherness.

Of course, we tend to meet somebody whose proclivities match our vulnerabilities,

and so you find that in many relationship:

you have one person who is more afraid of losing the other, and one person who is more afraid of losing themselves. One person more afraid of fear of abandonment, one person more afraid of fear of suffocation.

From Esther Perel: How to Find, Build & Maintain Healthy Romantic Relationships

건강한 인간 관계를 위해서 내가 노력하는 부분 3 가지

지난 관계를 돌이켜보면서 건강한 인간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내가 노력해야 하는 부분들을 아이폰 메모장에 써 두었던 내용이 있습니다.

(1) 싫어하는 것들에 대한 지적보다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들에 대한 칭찬이 훨씬 관계에 효과적이다.

(2) 관계에서 불필요한 마찰들이 잦다면 서로가 말의 단어 하나 하나에 큰 의미를 부여하지 말고 가끔은 그냥 유머로 넘어갈 줄 아는 센스가 필요하다.

(3) 서로의 감정에 공감하기 힘들면 그냥 진심으로 귀 기울여 들어주는 것이 최선의 해결책이다. 가장 중요한 건 상대방이 왜 그렇게 느끼는지 호기심을 갖고 물어보는 것 만으로도 많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Categoriesjournal

리셋 버튼 Going back to basics

리셋 버튼 Going back to basics.

11월 28일 2024년 일기

내가 만든 나만의 리셋 버튼이 있는데

나에게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생각해 보도록 한번씩 돕는 버튼이 있어요. 그것이 인간 관계가 될 수도있고, 습관적인 건강하지 않은 생각이 될 수도 있죠. 이 버튼은 경제적인 부분에서도 사업적인 부분에서도 한번씩 재정비할 때 큰 도움이 되는데, 나에게 가장 중요한 가치가 무엇인지 한번씩 재검토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 같습니다.

마찬가지로 건강 관리에 대한 부분도 이 ‘리셋 버튼’을 적용해보면서

몇 가지 느낀 점이 있었는데

어쩌면 너무나 당연한 말일수도 있지만

(1) 건강 관리는 습관 관리다.

결국 매일 하는 습관이 ‘나’라는 사람을 만들어요. 건강 관리도 마찬가지라는 생각이 듭니다. 비유를 든다면 내가 어쩌다 한번 밤에 폭식한 초코렛이 문제가 아니라, 평소에 어떤 음식을 먹는 습관을 갖고 있는지가 ‘나’를 만들어요. 내가 매일 하는 활동들이 모여서 사업이 굴러가듯, 매일 하는 나의 루틴, 즉 baseline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그리고 개인이 갖고 있는 삶에 대한 태도가 평소에 습관처럼 하는 생각들이 흘러가는 방향에 미치는 영향이 굉장히 큽니다. 그래서 평소 생각의 기본값이 긍정적인 사람을 좋아합니다.

자기 관리라는 건 시간을 정해두고 어떤 행동을 요구하는 행위에 대한 성취감같은 것이 아니라

그냥 본인의 습관들을 냉정하게 봤을때 건강한 것들이 좋지 않은 것들보다 비교할 수 없을정도로 많다면 자기 관리를 잘 하고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고 생각해요. 대부분의 사람들은 가장 기본적인 꾸준히 운동하는 것 조차 힘들어하고, 물을 하루에 1리터도 마시지 않는 사람들이 생각보다 정말 많습니다.

(2) 먹는게 나다. We are what we eat, so be mindful.

우리가 먹는 음식들이 몸에서 에너지로 사용해요. 몸에서 소화시키면 그냥 다 같은 ‘칼로리,’ 아니면 에너지원으로 분해되는 것 아니야? 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영양의 관점으로 봤을 때 자연에서 깨끗하고 (chemical/toxin free) 좋은 영양분을 먹고 자란 재료로 사용한 음식과 패스트 푸드점에서 만든 인공 음식을 비교하면 맛을 떠나 영양소 퀄리티의 차이가 너무 크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건 마치 목이 마를 때

깨끗한 물을 $5불주고 사먹는 건 할 수 있지만

콜라를 $1불주고 사 먹는 것 조차 아깝다고 느껴지는 이유랑 비슷한 것 같습니다.

(3) 나도 모르게 중독되어있는 것들

그게 끊지 못하는 인간 관계가 될 수도 있고, 매일 마셔야하는 커피처럼 입으로 들어가는 음식이 될 수도 있구요. 어쩌면 필요에 의해서 먹어야하는 약이 될 수도 있고, 운동, 골프나 여행과 같이 좋아하는 활동이 될 수도 있고, 본인이 아끼는 시계나 자동차와 같이 물건이 될 수도 있어요.

습관적으로 하는 행동들이 좋고 나쁜 것을 떠나서

자신이 무엇에 중독되어 있는지 (addicted) 아니면

무엇에 얽메여 있는지 (attached)를 좀 냉정하게 판단해 보고 싶다면

자신에게 가장 중립적인 상태 아니면 아무것도 필요하지 않은 상태가 무엇인지 생각해보는 시간을 갖는 것이 나 자신을 좀 냉정하게 이해하는데 도움이 컸던 것 같습니다. 많은 문제들의 해결은 인식하는 것이 반이라는 생각이 들기도 하는데요.

그래서 저는 저에게 한번씩 리셋 버튼을 눌러보고 내가 무엇에 의존하고 있는지 살펴보는 프랙티스를 하려고 합니다. 저 같은 경우는 지역을 옮기는 상황으로 인해서 4년에 한번씩 눌렀던 것 같은데, 이번엔 조금 빨리 2년만에 다시 누르게 되면서 기록으로 남겨보자는 생각이 들었던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