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hor: won

  • 성장기 아이들의 특발성 척추측만증

    성장기 아이들의 특발성 척추측만증

    성장기 아이들의 특발성 척추측만증

    척추측만증은 사춘기 직전의 급격한 성장기에 자주 발생합니다. 정상적인 척추는 옆에서 보면 자연스러운 S자 곡선을 이루지만, 앞에서 봤을 때는 일직선이어야 합니다. 하지만 척추가 앞에서 볼 때 10도 이상으로 비정상적으로 휘어져 있다면 이를 ‘척추측만증’이라고 합니다. 척추측만증으로 진단받은 대부분의 사람들은 특별한 치료 없이 정기적인 관찰만으로도 충분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는데요.

    척추측만증은 남녀 모든 아이에게 발생할 수 있지만, 척추의 만곡이 급격히 악화되어 정밀 치료가 필요한 경우에 여자 아이들에게 더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여아의 경우 사춘기 동안 급격한 성장을 겪으면서 척추측만증 곡선이 악화될 수 있다는 가설이 있습니다. 이렇게 성장기에 발생하는 척추측만증을 특발성 척추측만증이라 분류하며, 대부분의 척추측만증이 여기에 속합니다.

    한국 아동의 척추측만증 실태 및 추이

    2011년 고려대학교에서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100만 명의 아이들을 대상으로 척추측만증 유병률을 조사한 결과 한국 학생들 사이에서 3.26%의 유병률을 보였습니다. 특히 여학생의 경우 4.65%로 남학생 1.97%보다 훨씬 높게 나타났는데요. 연령별로는 10-12세 여학생에서 가장 높은 5.57%의 유병률을 보였습니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해 척추측만증이 한국 학생들 사이에서 비교적 흔하며, 이 추세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고 보이고, 연령과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아담스 전방 굽힘 검사

    위에서 발표한 연구 자료에 따르면 전방굽힘 검사에서 양성반응을 보인 약 78,000명의 아동 중, 37,000명만이 엑스레이 검사에서 10도 이상 차이나는 유의미한 양성 판정을 받았습니다. 즉, 53%의 아동이 거짓 양성 반응을 보였다는 것인데요. 거짓 양성이 있더라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다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하여 이 검사는 상당히 유용하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 아이가 전방으로 몸을 굽혔을 때 척추가 일자로 뻗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 척추 양쪽이 동일한 곡선을 그리고 있는지 살펴보세요.
    • 허리와 등의 한쪽이 다른 쪽보다 더 돌출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 허리 라인이 수평을 유지하는지 관찰하세요.
    • 전반적인 체형이 좌우로 틀어져 있는지 검토하세요.

    초기에는 항상 통증을 동반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성장기 동안 악화되는 것을 방지하려면 조기 발견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합니다. 적절한 치료는 척추측만증을 완전히 치료하는 것이 아니라, 그 진행을 늦추고 정신적 부담을 줄이며, 심한 척추 변형과 미래의 건강 문제를 예방하는 데 목표를 둡니다. 자녀가 비정상적인 척추 만곡을 보이면, 망설이지 말고 바로 의사의 진찰을 받으시길 권장합니다. 특히 성장기 여아의 경우, 조기에 문제를 파악하고 개입하는 것이 척추측만증이 심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Reference
    Suh SW, Modi HN, Yang JH, Hong JY. Idiopathic scoliosis in Korean schoolchildren: a prospective screening study of over 1 million children. Eur Spine J. 2011 Jul;20(7):1087-94. doi: 10.1007/s00586-011-1695-8. Epub 2011 Jan 28. PMID: 21274729; PMCID: PMC3176687.

  • X-rays, MRI, and CT Scan

    X-rays, MRI, and CT Scan

    X-rays, MRI, and CT Scan

    X-rays, MRI, CT 가 각 각 갖고 있는 장단점이 있습니다.

    사람들의 상황이나 부상을 당하게 된 환경에 따라 가장 적합한 ‘골드 스탠다드’가 있는데요. 주로 MRI 촬영을 권장하기 전에 X-ray 촬영과 다른 증상 검사들을 통해 MRI의 필요성을 먼저 판단해야 합니다.

    이러한 설명을 하는 이유는 모든 촬영 기법에는 이유가 있기 때문에, 누군가 X-ray 촬영을 했다고 해서 그게 불필요한 것도 아니고, 잘못된 판단을 하는 것도 아닙니다. 그리고 이미지를 촬영하게 되면, 제가 생각하는 가장 좋은 장점은, 미래에 지금 상태와 comparable한 자료를 남기게 되는겁니다. 백업하는거랑 비슷해요.

    제가 학생때도 많이 썼지만, 지금도 자주 들어가는 웹사이트인데요.

    Radiopaedia – https://radiopaedia.org/

    이 웹사이트는 advanced imaging technique들을 사용하여 촬영한 이미지들의 Wikipedia같은 곳이라고 볼 수 있는데요. X-rays, CT, MRI 등 굉장히 교육적인 자료가 많이 있습니다. 정상으로 판단된 사진들, Within Normal Range에 있는 검증된 이미지들을 볼 수 있다는 것은 좋은 비교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Perspective is everything. Question everything you see.”

    X-rays는 결국 2D 그림자 사진인데요. 그래서 여러 방면으로 찍어야 합니다. 위 사진이 그 부분을 잘 표현해주고 있어요.

    https://radiopaedia.org/cases/cervical-spine-disc-spacer?lang=us

    목을 옆과 앞에서 찍은 X-ray 사진입니다. 옆으로 보면 경추 5번, 6번 사이에 메탈같은 무언가가 들어가 있는데요. 이 것을  disc spacer device라고 부릅니다. 옆에서 보면 공간을 채워서 벌려주고 있는 것 같아 보입니다. 앞에서 보면, 이 disc spacer가 우리가 사진을 보는 시각에서는 왼쪽에 더 치우쳐져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요.

    X-rays

    X-ray 촬영은 최소의 방사선(ionizing radiation)을 사용해서 생각보다 많은 데이터를 얻을 수 있습니다. X-ray 영상을 보면 ‘아는 만큼 보인다’가 여기에 딱 들어맞는 것 같습니다. 엑스레이는 결국 3D 입체를 겹치도록 해서 2D 영상으로 만들어 내는 것인데요. 공기, 물에 가까울수록 검은색으로 나타납니다. 근육, 지방, 어떤 조직들의 밀도가 높아질수록 회색처럼 모양을 띠기 시작하고요. 뼈와 같이 단단한 물체는 X-ray 웨이브가 지나가지 못하면서 하얗게 나타나게 됩니다. 그래서 검은색, 흰색, 회색, 이런 색상의 대비(contrast)를 통해 정상과 다른 부분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는 좋은 촬영 기법이라고 생각해요.

    https://radiopaedia.org/cases/normal-cervical-spine-ct-4?lang=us

    정상 목의 CT스캔 사진은 이런식으로 생겼습니다. CT 스캔은 층 층 slice처럼 찍어서 부분 부분을 정밀하게 볼 수 있는데요. CT 스캔의 장점은 뼈를 굉장히 정밀하게 볼 수 있다는 점이 있습니다. 그런데, 물렁 물렁한 조직들은 MRI 더 적합하게 사용되는데요. CT 스캔의 단점은 X-rays나 MRI (MRI는 Magnetic field를 사용해서 몸의 hydrogen atom의 모양을 변하게 하였다가 되돌리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변화를 이미지화 시키는 기술입니다.) 보다 노출되는 방사능의 양이 비교적 높습니다. 적게는 10배, 20배 이상 더 높은 양의 radiation에 노출됩니다.

    CT Scan

    CT 촬영은 X-ray와 MRI를 조금씩 섞어 놓은 것처럼 생각하면 쉬운데요. 조직들의 문제를 찾아내는 데 X-ray보다 정밀하지만, MRI보다는 정밀도가 조금 떨어집니다. 하지만 프로세싱하는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응급실에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정확히 말하면, 뼈나 몸 안의 장기들, 그리고 혈관들을 확인하는 데 용이합니다.

    예를 들면, 콩팥 뒤쪽 위치에 종양 같은 것이 생기면 해부학적인 이유로 X-ray나 초음파와 같은 촬영으로 발견하기 쉽지 않은데, CT 촬영을 하면 아주 정확하게 나타나는 경우와 비슷합니다. 마찬가지로, 교통사고가 나거나 머리를 부딪히는 부상을 당했을 때 응급실을 가게 되면 꼭 뇌 CT 촬영을 하게 됩니다. 뼈에 골절이 있거나 출혈이 있는지 빠르게 검사하는 데 용이하기 때문입니다.

    류마티스 케이스 MRI

    류마티스 환자인데, 목의 MRI를 찍어보게 된 이유는 만성으로 몸에 염증이 생기는 반응에 의해서 C1이랑C2랑 같이 연결되어 있는 부분 (C2-Dens) 끝에 이상한 방식으로 레이어가 막 쌓이게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사진.

    https://radiopaedia.org/cases/cervical-spine-in-rheumatoid-arthritis?lang=us

    The assessment of atlantoaxial joint involvement in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results from an observational “real-life” study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98-023-46069-0

    MRI

    MRI는 뇌, 신경, 인대, 힘줄, 이런 물렁물렁한 조직들을 3D로 아주 정밀하게 촬영하고, X-ray나 CT 스캔에서 놓친 것들을 찾아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면, 전에 X-ray와 CT 촬영을 했는데 문제가 없다고 판단되었지만, 지속적인 신경통으로 인해 몇 주가 지나 다시 MRI로 정밀 검사를 하였더니 놓쳤던 작은 골절을 찾아내기도 합니다. 만약 척추 신경이나 뇌 신경과 관련된 문제가 있을 시에, MRI 촬영을 하게 되면 가장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실제로 신경이 어떤 방향으로 어떻게 흐르고 있는지, 현재 디스크의 상태가 어떠한지, 터졌는지, 터지기 전인지, 여러 상황들을 판단할 수 있습니다. MRI는 X-ray나 CT처럼 방사선(ionizing radiation)을 사용하지 않아서 반복적인 사용도 안전하다고 이야기하는데, 반복적인 안정성에 대해서는 잘 모르겠습니다.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는 몸에 심장박동기 (pacemaker)나 스텐트 (stent)와 같이 금속이 있다면 MRI 촬영이 굉장히 위험해지는데요. MRI는 강한 자기장 (magnetic field)을 사용하기 때문에 이런 금속을 자석처럼 끌어당기거나 열을 올릴 수 있습니다.

  • 다리 길이 차이가 허리에 미치는 영향

    다리 길이 차이가 허리에 미치는 영향

    다리 길이 차이가 허리에 미치는 영향

    척추는 우리 몸의 중심 지지 구조로, 몸을 똑바로 세우고 머리, 가슴, 골반, 어깨, 팔, 다리 등 골격의 여러 부분을 서로 연결합니다. 척추는 뼈의 사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몸의 한 곳에 문제가 생기면, 다른 곳에 문제가 생기기 쉽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허리에 통증이 있다고 하여 허리를 검사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근본적인 원인이 다른 곳에 있을 수 있는 것도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다리 길이에서 약간의 차이를 가지고 있으며, 이것은 일반적으로 통증을 유발하지는 않습니다만, 어떤 사람들에겐 1/2 인치의 미세한 차이 조차도 상당한 허리 통증 및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데요. 해부학적으로 한쪽 다리가 더 짧을 수 있지만, 다리 길이 차이의 대부분은 생리학적 원인에 의한 이유가 많습니다.

    이러한 차이는 이전의 부상, 뼈 질환, 선천적 기형, 또는 신경근육 문제 등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만, 제가 진료하는 환자들 가운데에서는 골반의 뒤틀림에 의한 다리 길이 차이가 가장 흔하게 나타납니다. 다리 길이에 차이가 있을 때, 우리 몸은 이 차이를 적응하고 보상하려고 하는데요. 이러한 불균형이 클수록우리 몸의 보상 메커니즘이 커지며, 이는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다리 길이 차이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사람마다 다릅니다. 차이가 클수록 눈에 띄게 다리를 절거나 한쪽 엉덩이가 다른 쪽보다 높게 위치하는 것을 볼 수 있어요. 일부 사람들은 한쪽 무릎을 구부린 채로 서 있기 쉽고, 짧은 다리 쪽으로 발끝을 사용하여 걷는 경향이 있습니다. 바지를 입을 때 한쪽이 다른 쪽보다 길게 느껴질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다리 길이 차이는 허리 통증을 유발하기 쉽고, 부상에 취약해집니다. 다리 길이 차이의 원인이 병리학적이 아닌 구조적 문제에서 비롯된 경우, 교정을 통해 개선이 가능합니다.

    우리 몸은 항상 중력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서 있거나 앉아 있을 때 몸무게를 가장 효율적으로 분배할 수 있는 신체 구조를 유지하는 것은 장기적으로 척추 건강에 매우 중요합니다. 다리 길이의 차이가 골반의 비틀림으로 인해 발생한다면, 허리 구조상 몸무게가 균등하게 분배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 경우, 허리의 한쪽이 더 많은 부하를 지게 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부상의위험이 증가합니다. 재채기를 하거나 갑작스럽게 잘못 움직였을 때 허리 근육이 심하게 뭉치는 경험이 자주 있는 분들은 골반 자체의 비틀림이 원인일 가능성이 높습니다.